동슬라브 도시의 어머니: 순박한 사람들이 사는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Kýjiv)의 예술과 문학:
: 영국 graffiti화가 방스키(Bansky): 전쟁이 나면 유리를 깨세요!
전세계 음악팬이 이곡을 즐겨 듣고 우크라이나의 승리를 위해서 기부를 한다. Ukraine, you are the nation of heroes, you are not only fighting for your freedom but for the whole free world! Slava Ukraini! Love and support from your brothers and sisters in Lithuania!
러시아 독재자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곧 끝날 것 같네요. 러시아내 반 푸틴, 반전 무드가 증가하고 있기때문입니다. 아래 도영상 참조하세요.
우크라이나 유럽에서 가장 크고 자원이 풍부한 독립국(1991년부터)입니다. 러시아민족으로부터 약 1000년만에 이룩한 독립입니다.
독립국 우크라이나 영토 변경 역사
한국외대 용인 글로벌 캠퍼스에도 우크라이나 깃발이 걸려 있는 데 영원하길 빕니다.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lobal Campus in Yongin 한국외대 용인 글로벌 캠퍼스에 우크라이나 깃발이 힘차게 펄럭입니다. 우크라이나여 영원하라고...
한국외대 용인 글러벌 캠퍼스
사진으로 보는 신생독립국 우크라이나(1991년독립) 간략사.
우크리아 가톨릭 대표들 반 러시아 정교회 시위:(독립하기 약 1년전인 1990년) Representatives of the Ukrainian Catholic Church protest the visit of Russian Orthodox Church Patriarch Alexi II to Kyiv on Oct. 29, 1990.
1991년 8월25일독립국을 선포하고 이튿날 우크라이아의 시민들 키이우(Київ) 공상당 당사 앞에서 시위.Ukrainians demonstrate in front of the Communist Party's Central Committee headquarters in Kyiv on Aug. 25, 1991, the day after Ukraine declared its independence from the Soviet Union. Anatoly Sapronenko/AFP via Getty Images

1992년 1월 독립직후 어려운 우크라이나 생활; 주민들이 온갖것을 팔아서 빵을 사먹는다. Kiev residents line up to try to get hold of some extra cash by selling goods at a local market on Saturday, Jan. 18, 1992. The ruble couldn't be used anymore in stores. Instead, Ukrainians were given coupons which would circulate until May, when a new currency would be issued. (Peter Dejong/AP)

우크라이나 핵무기 포기 협정(1994년): 우크라이나 역사상 가장 큰 실수가 될줄이야? 1994년 우크라이나가 미국, 영국, 러시아가 독립을 유지해주고, 크림반도 간섭안한다해서 핵 포기한게 우크라이나 역사상 가장 큰 실수 인가 봅니다. 비겁한 미국과 영국은 물론이고 러시아 독재자 푸틴이 저렇게 미쳐날뛰니, 우크라이나 불쌍하네요. 그때 핵포기 안했으면 21세기 hitler가 침공 못했을텐데. 순박한 내 우크라이나친구들 불쌍하네요. 무사하길 빌뿐입니다. 1000여년 이상 대국놈들한테 혼이난 우리 한민족의 북쪽이 중국한테 다시는 안 당하려고 핵 무기 개발하는데 우리도 준비해야 된다고 보네요. 우크라이나 사태가 주는 교훈은 영원한 우방도 없으니 스스로 자주국방력을 갖춰야한다고 봅니다. 믿지 못할 북한 핵에 대비해 핵, 핵무기 어떻게 준비하지?? 대선 토론에서 안철수가 주장한 괌이나 오키나와 미국핵함대 공유하는 협정 안이 그럴듯하기는 한데...President Bill Clinton (from left), Russian President Boris Yeltsin and Ukrainian President Leonid Kravchuk join hands in 1994 after signing a nuclear disarmament agreement. Under the agreement, Ukraine, the world's third-largest nuclear power at the time, said it would turn all its strategic nuclear arms over to Russia for destruction. Sergei Supinsky/AFP via Getty Images
2004년 친 푸틴 허수아비 지도자에 대한 반대 오렌지 혁명의 영웅 비토르 유셴코(Viktor Yushchenko)대통령에 취임(2005.1.)Viktor Yushchenko, the pro-Western hero of the Orange Revolution, became the third president of an independent Ukraine. Yulia Tymoshenko (left) became prime minister. Maxim Marmur/AFP via Getty Images

부패한 대통령 빅토르 얀코비치(Viktor Yanukovych) 정부 반대 대모대 2014년 2.19일 Anti-government protesters guard the perimeter of Independence Square, known as Maidan, on February 19, 2014 in Kyiv, Ukraine. After several weeks of calm, violence has again flared between police and anti-government protesters, who are calling for the ouster of President Viktor Yanukovych over corruption and an abandoned trade agreement with the European Union.
우크라이나 영토인 크림반도 러시아인들이 독립을 주장하면서 러시아에 편입을 원하고 있다. 2014. 3. 17.) 그후 러시아 독재자 푸틴이 크림반도를 불법 점령 러시아에 합병시켰다.(제1차 우크라이나 침공)A man holds a Crimean flag in front of the Crimean parliament building on March 17, 2014, in Simferopol, Ukraine. People in Crimea overwhelmingly voted to secede from Ukraine during a referendum vote on March 16 and the Crimean Parliament declared Independence and formally asked Russia to annex them.
코미디언 및 배우출신 볼로디미르 젤린스키(comedian and actor Volodymyr Zelenskyy) 2019년 4월에 대통령에 당선후 8월 신정부 첫 의회의원들 환영. Ukrainian President Volodymyr Zelenskyy greets lawmakers during the solemn opening and first sitting of the new parliament, the Verkhovna Rada, in Kyiv on Aug. 29, 2019.
2022년 2월 23일 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군사기지 폭격
21세기 hitler 가 우크라이나 지도자들을 나치라고 부르며 우크라이나 군들로 하여금 반란을 일으키라고 사주하고 있다. 21세기 신히틀러가 침략당한 나라 사람보고 나치라니 어불 성설이다. 현대판 히틀러는 곧 전범으로 처형돼야 한다. I'm warning the war buff Putin. 전쟁광 푸틴에게 경고한다. When war breaks out thousands of innocent people get killed or injured almost immediately. Not only that, it also ignites endless civil war. Thousands or millions dead and for what reason. For what ‘ideal’ were they sacrificed? There is no great cause that can give a good reason for the sacrifice. The only thing remains are crude and cheap slogans trying to justify the greed for power. 전쟁이 터지면 죄 없는 수만 명의 사람들이 죽을 뿐만 아니라 곧 끝 없는 내전이 시작될 것이다. 왜 수만 명이 죽어야 하는가? 무슨 이상 때문에 그들이 희생되어야 하는가? 희생을 설명할 대의는 없다. 남는 것이라 곤 권력을 탐하는 것을 정당화하려는 야비하고 잔인한 슬로건일 뿐이다.
우크라이나는 영토가 한반도에 약 3배가 되는 603,700평방 킬로미터이고 인구는 5300만 명이며 수도 키이우(Київ)는 260만 명으로 구소련의 세 번째 도시이다. 인접 국가인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러시아 등지에 옛부터 수백만이 살고 있으며 그리고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으로 이민 간 우크라이나 민족은 수백만에 달한다. 필자가 경험한 시카고의 우크라이나 인들은 그들의 문화를 유지하며 미국 주류사회에 편입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우크라이나의 흑토는 유럽대륙에서 가장 비옥한 땅으로 구 소련 식량의 25%를 생산했으며 각종 상공업이 발달되었고 흑해의 크림 반도는 휴양지로 유명하다. 더욱이 우크라이나는 미술을 비롯해 찬란한 예술 문화를 가지고 있다. 1991년 독립국가 건설로 수세기 동안 추구해온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는 완성의 한 단계를 보여준다.
키이프 시민들이 전쟁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민스크에서 키이우(Київ)(러시아어로는 키예프Ки́ев, Kiev)까지는 550km다. 높은 언덕하나 없는 흑토의 평원 위를 특급열차가 달리지만 사회주의 탓인지 열차가 덜커덕거리며 12시간이나 걸렸다. 민스크대학 졸업반 여차장 견습생이 우리의 차량을 담당하고 있었다. 승차 시 우리 일행 둘은 외국인이므로 외국인 표를 보자고 한다. 21 루블 짜리 표를 보고 다시 가서 외국인 표를 사야 된다고 하였다. 출발 시간이 다되어 전송 나온 샤블로프스카야 교수가 차장에게 귓속말로 뭔가 이야기하고 일단 타고나서 1인당 75루블을 더 내라고 하였다. 차 값보다 3배나 많은 돈을 준 셈이다. 이렇듯 소련은 거의 모든 경우 예외가 통한다는 것을 여행을 통해 알았다. 여기에도 마피아 짓이 행해지고 있다. 12시간의 열차 여행 동안 서비스는 그 견습차장이 조개탄으로 끓인 차 한 잔을 준다. 25코페이카를 받고 ……. 소련에서 마피아 짓은 이처럼 부정으로 돈을 챙기는 것을 일컫는다.
3일간의 키이우(Київ) 관광은 황홀했다. 물론 더위에 시달릴 때는 음료수 하나 제대로 사먹기 힘들기도 했지만. 키이우(Київ)의 모습은 새벽, 낮, 석양, 밤 등 시간마다 색다른 조화를 보여준다. 여행안내서에는 5월의 키이우(Київ) 예술제가 볼만하다고 한다. 계절 따라 독특한 미를 나타내 줄 것 같다. 넓디넓은 드니프로(Dnipro)江가에 자리한 동슬라브 어머니의 도시 키이우(Київ)는 블라지미르 언덕에서 바라보면 금빛 돔형의 정교회 성당이 군데군데 보인다. 석양에서 강 건너 쪽을 바라보면 숲과 언덕 속에 금빛 뾰족탑이 신비의 도시 같다. 이 도시의 아름다움이 주는 정은 모스크바의 크레믈린 주위를 확대해 놓은 착각에 빠지게 한다. 아름다운 클래식 건축물의 도시 상트 페테르부르크보다 도시 성격상 균형이 더 잡혀 있는 것 같다. 언덕, 구릉지대, 강, 숲의 조화가 어우러진 이 고도는 헝가리의 부다페스트, 체코의 프라하와 더불어 필자가 본 동-중부유럽 도시 중 가장 인상적인 도시의 하나이다.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쿠라이나어는 어떻게 다를까?
나는 벨루스(Belarus: White Russia)나 우크라이나(Little Russia)에서 주로 러시아어로만 이야기 했지만 벨라루스사람들은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를 썩어서 사용하는 것을 느꼈다. 러시아어보다 벨라루스어가 좀 더 발음하기가 쉬워보였다. 마찬가지로 우크라이나어도 러시아어보다 발음하기가 더 쉬웠다. 아마도 두 언어다 폴란드나 체코어 등 서 슬라브어의 영향인 것 같다. 체코어는 대게 한모음이 한음으로 만 나는데 러시아어는 모음에 악센트라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달리 발음된다. 우크라이나어도 주로 한모음이 한음으로 발음되는 것같았다. 내가 벨라루스교수한테 물어보니 그렇다고 한다. 러시아어는 모음 변이가 많아서 시를 읊을때는 더 율동적(?)이다. 세나라를 동시에 여행하니 언어의 미묘한 차이도 발견할 수있었다. 세나라 언어를 대개 동슬라브어라고 한다.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그리고 폴란드어를 서슬라브 어라고 부른다.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 불가리아어 등을 남슬라브 어라고 부른다. 나는 서슬라브어인 체코어와 동슬라브어인 러시아를 구사하니 이들 나라에 여행하면 언어적 장애는 별로 느끼지 못했다.
시 중심 셰브첸코 대학, 셰브첸코 공원 앞 학생 시위
키이프의 남북으로 뻗쳐있는 흐레샤찌크 거리와 동서로 펼쳐져 있는 타라스 셰브첸코 대로가 시의 중심가요 번화가다. 넓은 강과 언덕과 숲 두 줄로 우거진 마로니에 가로수길, 고색창연한 건축물이 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성 안드레이 성당
바로크 시대의 비잔틴 양식인 성 안드레이 성당은 18세기 중반 여황제 예카쩨리나(엘리자베트)의 키이프 방문을 기념하여 이태리 건축가 B. 라스토렐리의 설계에 따라 만들어졌다. 60m 높이의 돔형 탑과 네 귀퉁이의 돔형 지붕이 조화를 이룬다. 새하얀 기둥과 파란 벽면은 독특한 미를 자아낸다. 이는 상트 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녹색처럼 밝다. 밝은 파랑색과 흰색으로 단장된 건물이 이 도시를 더욱 밝게 보이게 한다. 키이우(Київ) 최고(最古)의 성당인 성 소피아 성당은 11세기에 건축되었고 17세기까지 파괴와 복구를 거듭해 왔다. 중앙에 황금빛 큰 돔형 탑을 주위로 좌우 5개씩 대칭형 녹색의 돔과 흰색의 벽면은 아름다운 조화를 띠고 있다. 성당 벽에 프레스코 화와 성모 마리아상은 이 성당이 구 소비에트러시아 전체에서 가장 귀중한 역사적 유물이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성 소피아 성당 등 건축문화 찬란함
벽면에 이콘화(Icon: 정교회 성화)는 우크라이나의 이콘이 러시아 정교회 이콘의 모태라는 것을 말해준다. 불가리아의 수도 소피아에 있는 네프스키 성당 지하실의 이콘화, 루마니아 부쿠레스티 국립 미술관의 이콘화와 견주어 볼 때 키이프의 이콘화는 같은 성자와 성서의 인물을 표현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민족의 모습과 특징을 띠고 있다. 기독교의 정통이라고 주장하는 정교회의 민족 화된 이콘은 외경스럽기보다는 친근감을 자아낸다. 키이우(Київ)는 각종 박물관과 미술관 및 현대 화랑이 많은 도시이다. 사회주의 국가는 인민의 땀과 피를 흘려 대중들이 즐길 수 있게 옛 왕궁들을 개조해서 박물관 문화를 이룩해 왔다.
페체르스카야 수도원
페체르스카야 수도원 이콘
키이우(Київ) 동굴 성모의 이콘 Icon of the Mother of God of the Kiev Caves(1073년)
드니프로 강가 공원 숲 속에 자리한 페체르스카야 수도원은 동슬라브 문화의 원천이며 그 규모도 동남 슬라브 지역에서 최대를 자랑한다. 키이프 대공국이 번성하던 11세기에 세워졌다. 눈을 부시게 하는 대 종루의 장엄한 모습, 11세기 이후 수도원 생활에 필요한 각종 건축물이 계속 세워져 16세기에는 대 수도원(Lavra)이라고 불려졌다. 각종 박물관, 특히 지하 묘지는 관광객의 명소다. 이 수도원에서 슬라브 최초의 역사서 「원초 연대기」가 쓰여졌다. 정교회 문화의 진수를 보자면 키이프를 봐야한다.
현재 우크라이나로 알려진 이 지역에는 9세기 루스(Rus)라고 불린 공국이 있었다. 이 때의 루스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전신이다. 이 당시 루스는 키이우(Київ), 체르니고프, 페레야슬라블 지역 전체를 말한다. 이 나라는 바랴그 공국의 주권 하에 있었다. 이 바랴그 인들이 주위 슬라브 민족들에 의해 핀족으로부터 유래된 이름인 루스로 불려졌다. (핀란드어로 Ruosti) 이 정복자들은 곧 슬라브 화 됐다. 키이우(Київ)에 성 블라지미르 대공이 988년 비잔틴으로 부터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이제 블라지미르는 더 이상 바랴그인의 왕이 아니라 슬라브 대공이 됐다. 이 키이우(Київ) 공국은 서북쪽으로 세력을 확장하였다. 그러나 13세기 중엽 타타르족의 침략에 의해 멸망했다. 이 키이우(Київ) 루스는 동슬라브 통일 국가였다. 15세기 타타르족의 굴레에서 벗어나면서 본격적으로 동슬라브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로 구분되기 시작했다.
부활절의 상징 채색계란(Pysanky)
수세기 동안 우크라이나 문화는 민속예술을 발달시켰다. 자수, 마트로쉬카(목각인형), 도자기, 뜨개질, 융단 등이 지역적 특색에 따라 장식과 도안을 가진 기술로 발달됐다. 부활절의 상징 채색계란(Pysanky)은 우크라이나 정교회 민속미술로 우크라이나인이 있는 곳이면 세계 어디든지 발달되었다.
셰브첸코(Taras Shevchenko) 대학교
셰브첸코 박물관
19세기 로망주의 및 리얼리즘은 시인이며 화가인 셰브첸코(Taras Shevchenko, 1814-61)에 의해 대표되었다. 그의 문학과 회화는 우크라이나 민족문학, 예술 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발휘하였다. 그는 우크라이나 국민으로부터 가장 사랑 받는 예술가요 민족 시인이다. 반면에 동 시대의 우크라이나 출신 고골리는 러시아어로 「외투」, 「검찰관」, 「죽은 혼」 등 러시아문학의 어머니로서 주옥같은 작품을 발표해 러시아 산문문학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우크라이나 미술과 문학
사회주의 도그마 속 서방진출 모색
키이우(Київ) 식당의 서비스는 다른 사회주의 나라 도시답게 아직 세련되지 못하나 음식물의 질은 모스크바나 상트페테르부르크(구 레닌그라드) 보다는 나았다. 특히 키이프의 치킨 브레스트(Kiev Chicken: 닭가슴살 요리)와 수프 보르쉬치는 우크라이나가 자랑하는 요리다.
키이우(Київ)그라피티(벽화)
‘Bost-Art’라는 현대 화랑을 방문했다. 이콘화를 소재로 한 현대화와 초현실주의 그림을 전시하고 있었다. 이곳에서 산 작품을 들고 택시를 기다리고 있는데 낡은 볼가 자동차 한 대가 다가왔다. 운전석에서 한 동양인이 나와서 러시아어로 재빨리 말을 걸어오는데 그는 고려인 3세였다. 호텔까지 우리를 태워 주고 혹시 개장국을 먹고 싶으면 다음날 저녁 집으로 오라고 하면서 전화번호를 주었다. 그는 마가이(Magai, 馬哥)씨며 20평 규모의 아파트에 살고 있었다. 책장, 가구, 소파 모두 형편없었다. 민족 갈등문제와 적은 봉급문제로 의사직을 그만두고 한국인과 상거래를 해보려는 새로운 꿈을 꾸고 있는 정열적인 한국인 3세였다. 저녁 식사의 특별요리는 마침 타쉬겐트에서 온 노모와 누이동생을 위해서 준비했다고 한다. 세 번 째 아내인 우크라이나 미인에게는 개고기라는 얘길 절대 하지 말라고 내게 당부했다. 그냥 산에서 잡아 온 산짐승으로 알고 있다고 한다. 채소와 고기를 완전히 풀어서 끓인 국은 전형적인 경상도식 보신탕이었다. 독한 우크라이나 보드카로 삼복더위 속에서 보신탕을 즐겼다. 저녁식사에 초대받은 사람들은 노모, 누이동생, 부인, 맏아들을 비롯해 몇몇 친구들이 있었다.
우크라이나 꿀 보트카(고르릴카, Horilka : горілка_
세계 최고의 닭 가슴살 요리 키이프 치킨(Chicken Kiev): 키이우(Київ) 뿐만아니라 미국 미시간 앤아버, 시카고에서도 맛본 키이프 닭가슴살 요리는 내가 먹어본 최고의 닭가슴 요리였다.
융숭한 대접을 받고 떠나오기 전날 밤 루스 호텔로 그의 가족을 초청했다. 우크라이나 보트카(홀린카)샴페인, 포도주, 캐비어, 훈제연어를 가득 차린 진수성찬에 그들은 감사를 연발했다. 8명의 디너 값이 825루불(약25 달러)이었다. 호텔 레스토랑에서 와인을 마시며 우크라이나 젊은 미녀부인과 블루스 등을 추며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여행의 진미가 이렇게 우연히 발생하다니. 호텔에는 스페인 여행객들이 시끄럽게 떠들면서 흥을 돋우었다. 대화 도중 노모는 요즘은 질서가 없단다.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를 표방한 고르바초프 시대에는 술주정뱅이가 많이 생겨나고, 무질서와 혼동만 초래하고, 물가고로 살기만 어렵다고 투덜댄다. 옛 시절, 교육, 직장과 빵, 안정된 삶을 제공한 스탈린 시대에 대한 향수를 읊조리자 아들이 '어무이는 옛 세대'라고 어색한 한국말로 나무란다. 노모의 조선인, 조선인 하는 말에도 전 소련의 조선인들이 북한 사람이나 남한 사람을 만나면 고려족, 고려사람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로 했다면서 아들은 노모에게 주의를 당부한다. (노모는 아직도 조선족, 조선인이라는 관습에서 벗어나기 어려워 보였다.) 변화를 두려워하는 옛 세대는 어디나 마찬가지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상상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키이우(Київ)에는 고려 사람이 약 300여명 살고 있으나 90년 이래 북한에서 온 고려 사람은 대부분 돌아가고 사업차 남한에서 온 고려 사람의 수가 많아진다고 한다. 키이우(Київ)의 고려인 회에서는 서울대 재외 교육원에서 발행된 한글교재로 고려인 어린이에게 한글을 가르친다고 한다. 우크라이나는 장래성으로 볼 때 남한 기업이 많이 진출했으면 한다. 전 유럽에서 러시아 다음으로 큰 나라이며 자원이 풍부하고 기술이 발달되었으니까.
그림: 쿠스토디예프(Kustodiev)의 우크라이나 정경(Ukrainian Landscape, 1925) 이아름다운 우크라이나가 현재 독재다 푸틴이 폭탄으로 파괴하고 있다. 가슴 아픈 일이다. 하루 빨리 우크라이나에 이 그림처럼 아름다운 평화가 찾아오길 기대해본다.
아름다운 누드(The Beauty, Nude, 1915): 쿠스토디예프(Boris Mikhaylovich Kustodiev(Бори́с Миха́йлович Кусто́диев; 1878-1927) 모델: 모스크바 예술극장 배우 Faina Shevchenko. 누드 모델을 제의 받자 셰브첸코는 처음에 거절했다. "Oh! I, the actress, be sitting in the nude! Thousands of people will see, what a disgrace!" 그러나예술을 위해 포즈를 취하기로 합의했다. 극장 장 스타니슬라프스키(K. Stanislavski)는 여배우가 손가락으로 젖꼭지를 잡고 있는 누드를 보고 그녀를 "매춘부(harlot)"라고 불렀다가 나중에 사과하고 연극의 주역을 다시 맡겼다. 그 당시 러시아 정교회는 이 그림을 보고 악마가 화가를 조종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베를린 화랑에 전시되자 비평가 로우콤스키(George Loukomski)는 " 야로슬라브의 다나에(The Yaroslavkian Danae)"(그리스여신으로 아르고스의 왕 아크리시오스의 딸이며 페르세우스의 어머니). 라고 극찬했다. 그림은 나중에 스탈린 공포정시대(1937-38)에 몰수 당했고 모스크바 트레쟈코프 미술관 수장고에 보관되었다. 자세한 것은 아래 사이트 참조: 65. 보리스 쿠스토디예프 (Boris Mikhaylovich Kustodiev) 1 (daum.net)
쇼스타크의 <유가이 초상화>(Шостак Д.З. `Портрет Володимира Югая)
우크라이나 국가 공훈화가인 한국인2세 블라지미르 유가이(Yugai,劉哥,Yugay Vladimir Nikolaevich, Югай 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1922−1997); 키이우(Київ) 미술대학 졸업 및 교수 억임(Kiev State Art Institute)
마가이씨의 안내로 국가 공훈화가인 한국인 2세 블라지미르 유가이(Yugai, 劉哥,Yugay Vladimir Nikolaevich1922−1997)씨를 방문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 화풍을 고수한 유가이씨는 특히 레닌의 초상화로 유명하다. 그의 레닌화는 소련전역 미술관에 소장돼 있다고 한다. 그가 최근에 그린 정교회 풍경화를 한 점 사고 선물로 레닌 초상화를 하나 받았다. 한국에서 초대전을 하고 싶다고 하면서 앞으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탈피해서 비판적 리얼리즘화를 열심히 그려보겠다고 한다. 칠순이 넘은 노화백의 목소리에는 새로운 가능성이 비쳤다. 그의 아틀리에 주위에는 다른 은퇴한 화가들이 밀집해서 서로 변화에 대응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른 구역에 사는 유태인계 젊은 화가들의 아틀리에를 방문했다.
유가이의 레닌초상화(Югай В. Н. : Портрет В. И. Ленина 1970)
유가이의 집단농장 입회 신청자들 Yugay VN :: Admission to the collective farm :: 1978
그들이 그리고 있는 그림은 현대 서유럽의 포스트 모더니즘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의 크기, 소재, 방법이 행위예술과 묘한 화합을 이루고 있었다. 1-2년 내에 서유럽에서 전시회를 연다고 한다. 이처럼 키이프는 고대 정교회문화와 현대 실험 미술의 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젊은 시민들은 70년대 15년 간 시베리아 유배 생활을 한 우크라이나 독립운동가 초르노빌을 칭송했다. 초르노빌은 체코의 하벨, 폴란드의 바웬사처럼 우크라이나의 민주화의 기수였다. 그러나 많은 평범한 시민들은 공화국 최고 회의 의장인 크라프추크가 다음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자신 있게 이야기했듯이 그는 1991. 12. 선거에서 승리했다. 우크라이나는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로 희망에 차있으나 경제적 어려움이 하루아침에 극복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작품통제 부분 해제....사실-로망주의 공존
근대 우크라이나 문학은 19세기 말에 시작되었지만 매우 천천히 발전되었으며 오랫동안 로망주의 및 초기 사실주의와 함께 공존했다. 서유럽의 문학 경향이 러시아와 폴란드를 거쳐 우크라이나로 들어왔다. 그러나 새로운 사조가 제대로 발전되지 못하고 지연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형식이 현재까지 변형된 모습으로 존재해 온 로망주의 및 사실주의 전통에 부딪혔다. 20세기 순수 미학적 관심은 확고한 지반을 가지고 있는 포플리즘(Populism)과 사회적 민족주의 열망에 대항해 우크라이나의 위대한 로망파 시인이며 예술가였던 타라스 셰브첸코(Тара́с Григо́рович Шевче́нко)의 영향은 너무나 커서 그가 죽은 뒤에도 오랫동안 남아 새로운 문학조류의 발달에 커다란 장애가 되었다. 19세기 전반 우크라이나 문학은 러시아 짜르 정권의 탄압으로 큰 위협을 받았다. 19세기 러시아 문학의 황제로 불렸던 비평가 벨린스키는 셰브첸코 문학조차 낮게 평가했다. 먼저 소개한 벨라루스의 민족문학처럼 1876년 그 탄압은 절정에 도달했다. 그래서 민족부흥의 최전선에 서야했던 문학가들은 순수문학을 발달시키지 못했다. 1905년 제 1차 러시아 혁명을 계기로 우크라이나 문학전반에 대한 러시아 제국의 통제가 부분적으로 해제되었다. 1920년대에는 문학 및 예술 전반이 부흥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 후 극단적인 정치적 압력이 문학발전에 악영향을 끼쳤다.
1928년 제1차 5개년 경제개혁 시기와 더불어 스탈린이즘이 우크라이나 문학예술 전반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1928년 진보적인 「Vaplite」 잡지가 폐간되고 그 후 많은 작가들과 비평가들이 자살하거나 처형되었다. 1932년 모든 문학그룹의 활동이 금지되고 고리키가 주도한 1934년 작가동맹을 통해서만 작가활동이 가능해졌다.
그 후 2차 대전 시기를 거쳐 스탈린 사후 흐루시초프 시대에 잠시 문학에도 해빙기운이 있었으나 1970년대에는 또 다시 탄압이 가중되었고, 소비에트 러시아처럼 소위 망명, 지하출판을 통해 끈질기게 문학 창작의 자유를 추구하였다. 모로즈(V. Moroz)는 「베리야의 비밀이야기」라는 조지 오웰 스타일의 소설을 써서 국내외에 크게 알려졌다. 그는 1979년 망명이 허락되어 미 하바드 대학교 「우크라이나학 연구소」에서 연구직을 맡았다.
오데사 출신으로 러시아어로 소설을 발표한 악쇼노프는 1980년 미국으로 망명하여 왕성한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화상」, 「크림 섬」등이 있다. 우크라이나 현대 작가와 지성인들은 1988년 기독교 수용 천년을 계기로 더욱 민족자결운동을 강화하여 왔다. 1991년의 우크라이나 사회분위기도 참다운 민족문학 정립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우크라이나 유럽에서 가장 자원이 풍부한 나라입니다. 반드시 독립을 유지해야합니다.
우크라이나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우크라이나 중요한 이유가 이렇다.
유럽에서 두 번째 큰 나라이고 폴란드보다 인구가 많은 4천만 명이 넘는다.
우라늄 광석의 입증된 매장량에서 유럽 1위
티타늄 광석 매장량 유럽에서 2위, 세계 10위. (2.3억 톤, 또는 세계 매장량의 12%)
세계 2위의 철광석 매장량(300억 톤);
수은 광석 매장량 면에서 유럽 2위;
셰일가스 매장량 유럽 3위(세계 13위)(22조 입방미터)
천연 자원의 총 가치로 세계 4위
석탄 매장량 세계 7위(339억 톤)
농업에서도 우크라이나는 중요한 국가이다.
경작 가능한 토지 면적에서 유럽 1위;
흑토 면적으로 세계 3위(세계 부피의 25%);
해바라기, 해바라기유 수출 세계 1위
보리 생산량 세계 2위, 보리 수출량 4위.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옥수수 생산국이자 4번째로 큰 옥수수 수출국;
세계에서 4번째로 큰 감자 생산국;
세계에서 5번째로 큰 호밀 생산자;
꿀벌 생산량 세계 5위(75,000톤);
밀 수출에서 세계 8위;
닭고기 달걀 생산에서 세계 9 위;
치즈 수출 세계 16위.
우크라이나는 6억 인구의 식량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는 중요한 산업화된 국가이다.
암모니아 생산에서 유럽 1위;
유럽 2위, 세계 4위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시스템
원자력 발전소의 설치 용량 측면에서 유럽에서 3번째로 크고 세계에서 8번째로 큰;
철도망 길이(21,700km) 기준으로 유럽 3위, 세계 11위.
로케이터 및 로케이터 장비 생산에서 세계 3위(미국, 프랑스에 이어);
세계 3대 철 수출국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원자력 발전소용 터빈 수출국;
세계에서 4번째로 큰 로켓 발사기 제조업체;
점토 수출 세계 4위
티타늄 수출 세계 4위
광석 및 정광 수출에서 세계 8위;
방위산업 제품 수출액 세계 9위
세계 10위 철강 생산국(3,240만 톤).
우크라이나가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그나라의 독립은 세계의 나머지 지역에 중요하다.
푸틴의 미래의 러시아 어린이들을 위해서 우크라이나를 침략한다 한 이유를 알만하죠?
For those who ask: “Why does Ukraine matter? “
갑작스런 러시아의 폭격에 놀란 우크라이나인들이 자하철역이나 아파트 지하에 피신하고 있다.

키이우(Київ) 지하철 역 피난민들
하리키프 지하철 역 피난민들
우크라이나 서부 도시 리비우(Львів, Lvov,) 중앙역에서 폴란드로 가는 열차를 기다리는 피난민들: 한국외대에서 10여년 가르치시고 지난 학기(2021년 가을)에 르보프 대학으로 돌아간 Irina Zbyr교수님 가족 잘 계시는지 걱정이네요.
키이우 시민들
키이우 귀신(“The Ghost Of Kyiv”): | Amid Putin's Invasion, Did An Ace Ukrainian Pilot Shoot Down Six Russian Jets? 비록 미사일이 판치는 현대전에서 전투기대 전투기 싸움은 드물지만 키이우의 귀신 같은 전투기 조정사가 러시아 전투기 6대를 격퇴했다는 것이 사실이기를 바래는 전세계 우크라이나인들과 양심있는 사람들의 꿈일 것이다.
내가 1991년 키이우를 방문했을때 그렇게 순박한 아이들이 군사교육을 받다니 이웃나라 러시아 때문에 무섭네요. God protect these children ! I have so much love and respect for them.
21세기 신나치 두목, 또다른 히틀러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글 중 가장 정확한 진단을 소개한다.
[홍완석교수] [오후 3:55]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673598
“우크라, 패권다툼에 어리석게 휘말려 전장화… 韓 반면교사 삼아야” [특파원+]
⑧·끝 우크라이나 사태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감독 미국, 주연 러시아, 로케 우크라식 ‘전쟁영화’ 방불 美 자극+러 오판+우크라 우매한 리더십 결합한 대재앙 서방, 나토가입 허황한 꿈 심고
n.news.naver.com
"


숨겨진 우크라이나 역사의 진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있는 장엄한 추모공원 입구에 마리를 땋아 내린 아주 슬픈 소녀의 작은 동상이 있다. 소녀는 손에 밀 싹을 잡고 있다. 그녀의 뒤에는 아담한 기억의 촛불 탑이 있다. 이 촛불 탑은 전통적인 우크라이나 전통의상의 자수를 상기시킨다. 이 촛불 탑은 홀로도모르(우크라이나 홀로코스트)로 알려진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홀로모도르는 무엇인가?(What is the Holodomor?)
일차세계전이 끝나고 유럽의 많은 민족국가가 독립을 했듯이 우크라이나 민족도 역사상 처음으로 독립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불해하게도 공산혁명을 일으켜 소비에트(소련)를 건설한 러시아 독재자에 의해 우크라이나는 소련에 강제 편입되었다. 우리가 소련-러시아를 위시하여 옛 공산주의 국가들을 대게 뭉뚱그려서 동유럽이라 부르는데 사실 우크라이나 인들은 자신들이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처럼 중부유럽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1932년 유럽의 최고의 곡창지대를 잃어버리고 싶지 않은 스탈린은 한 민족국가에 대해 가장 가증스러운 테러를 자행했다. 소위 토지의 국유화의 일환으로 스탈린은 곡창지대의 토지를 우크라이나 농부들로부터 강제로 몰수하고는 고의적으로 우크라이나 민족에게 기아상태를 조장했다. 그 목적은 “우크라이나인들을 똑똑하게 길들이기: To teach Ukrainians to be smart” 위해서였다. 그리하여 유럽에서 가장 비옥한 땅에서 가장 풍부한 곡식을 생산했던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한 조각의 빵도 가질 수 없었다.
홀로도모르(Holodomor)가 한창인 때는 1933년 봄이었다. 매분 마다 17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이 기아상태로 죽었고, 매시간 마다 1,000여명 이상의 우크라이나 인들이 기아상태로 죽었고 매일 약 24,500명이 기아상태로 죽어갔다! 20세기에 우크라이나 인들은 길바닥에서 굶은 체 죽어서 시체로 나뒹굴었다. 스탈린은 우크라이나 인들이 죽어간 텅 빈 마을에 러시아인들을 강제 이주시켰다. (크림 반도. 돈바스 지역에 러시아인들이 많이 사는 이유를 알 것 같다. 그당시 또 간도지방에 사는 많은 한인들을 당시 소비에트에 속한 중앙아시아에 강제 이주시킨 이유를 알 것 같다)) 그 이후 인구조사에 의하면 이런 지역에 인구가 많이 부족했다. 그렇게 소비에트 정부는 인구조사 문서들을 폐기시켰다. 그리고 진실을 호도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우크라이나 인들을 총살하거나 수용소로 보내서 가스로 죽였다. 그들의 히틀러는 스탈린이었다. 그들의 홀로코스트는 홀로도모르다. 그들에게는 파시스트 베를린이 소비에트 모스크바였다. 그들의 집단수용소는 소비에트 연방이었다. 오늘날 28개국이 홀로도모르가 우크라이나인들에 대한 계획적인 집단학살이라는 것을 기억하고 있다. 이러한 비국의 역사는 학교에서 배울 수 없다. 왜냐하면 거의 모든 문서들을 파기하고 희생자들은 철저하게 숨겨졌기 때문이다. 생존자들은 최근까지 진실을 말하지 못하도록 강요받았다. 그 당시 홀로도모르는 우크라이나 인들의 저항을 잠재웠다. 그러나 이는 또한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러시아로부터 영원히 상기시켜왔다. 데빈 죠바(Devin Dzioba)의 글 참조




At the entrance to the memorial park in Kiev, there is a sculpture of an extremely thin girl with a very sad look holding a handful of wheat ears in her hands. Behind her back is the Candle of Remembrance, a monument with details reminiscent of authentic embroidery that can be found on traditional Ukrainian costumes. This is a monument that commemorates a historical event known as the Holodomor.
What is the Holodomor?
☭ After the end of the First World War, Ukraine was an independent state, but in 1919 the Soviet Union "sucked" it into the community of Soviet states. The Ukrainians, who even then considered themselves a Central European people like the Poles and not an Eastern European like the Russians, tried to restore Ukraine's independence.

In 1932, not wanting to lose control of Europe's main granary, Stalin resorted to one of the most heinous forms of terror against one nation. In the process of nationalization, he took away the grain-producing land from the Ukrainian peasants, but also all its offerings, thus creating an artificial famine. The goal was to "teach Ukrainians to be smart" so that they would no longer oppose official Moscow. Thus the people who produced the most grain in Europe were left without a crumb of bread.
The peak of the Holodomor was in the spring of 1933. In Ukraine at that time, 17 people died of hunger every minute, more than 1,000 every hour, and almost 24,500 every day! People were literally starving to death in the streets.

Stalin settled the Russian population in the emptied Ukrainian villages. During the next census, there was a large shortage of population.
Therefore, the Soviet government annulled the census, destroyed the census documents, and the enumerators were shot or sent to the gulag, in order to completely hide the truth. world war. Their poison gas was hunger. Their Hitler was Stalin. Their Holocaust was the Holodomor. For them, fascist Berlin was Soviet Moscow, and their concentration camp was the Soviet Union. Today, 28 countries around the world present the Holodomor as genocide against Ukrainians, which you could not learn about in school, because almost all evidence was destroyed and victims were covered up for decades, survivors were forcibly silenced by not having the right to vote until recently.
The Holodomor at that time broke the Ukrainian resistance, but it made the desire for Ukraine's independence from Russia eternal." - Devin Dzioba
마리아 프리마첸코(Maria Primachenko): 우크라이나 민속화가. Maria Primachenko did not receive a formal art education but relied on her natural talent. Her work is often categorized as naive art because of the simplistic techniques and shapes she used.




<영감>(Inspiration)

<비둘기>A Dove Has Spread Her Wings And Asks For Peace (1982)
[크랩] 러시아 예술품 때문에 전쟁터에 남은 우크라이나 사람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습이 계속되면서, 우크라이나를 떠나는 시민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피난을...
news.kbs.co.kr
2007년 루미나아 동부지역 여행중, 평화로운 우크라이나 농촌 풍경을 사진에 담았다. 지금은 전쟁으로 수백명이 루미나아로 탈출하는 통로가 되었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서촌 먹거리, 볼거리 산보 (0) | 2022.04.25 |
---|---|
단양 구인사 기행 : 주경야선(晝耕夜禪), 기복(祈福) 대신 작복(作福)을 강조한 상월원각 대조사님의 가르침이 살아 있는 절이다. (0) | 2022.04.19 |
김규진교수 매혹의 영국여행 11, 맨체스터 대학, 맨유 축구장 과학 산업 박물관 탐방 (0) | 2022.01.17 |
김규진교수 매혹의 영국여행 9, 반전(反戰)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 결혼 마을 그레트나 그린Gretna Green (0) | 2022.01.09 |
김규진교수, 매혹의 영국여행 7, 블레어성과 양털깎기 (0) | 2022.01.03 |